분자생물학사 - 분자생물학사의 인물 및 연구 조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26 18:06
본문
Download : 분자생물학사 - 분자생물학사의 인물.hwp
그러나 transacetylase는 아직 무슨 역할을 하는지 알려지지 않았다.
설명
다. 파스퇴르 연구소에서 동료들과 함께 세균의 유전자가 일렬로 원을 이루며, 이 원은 거의 모든 부분에서 절단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러나 lactose가 있는 경우에는 lactose가 Inhibitor와 결합하게 되고 그로 인해 Inhibitor는 Operator에 결합하지 못한다. F. Jacob·르보프·모노가 수행한 연구는 대부분 1950년에 F. Jacob이 파스퇴르 연구소에서 연구조교로 있을 때 밝혀낸 것이다.
순서
Download : 분자생물학사 - 분자생물학사의 인물.hwp( 20 )
beta-galactosidase가 생성되어 Inhibitor와 결합된 lactose를 분해하게 되면 시간이 지나서 lactose는 점점 줄어들게 되고 Inhibitor와 결합할 lactose가 없어지면 Inhibitor는 다시 Operator와 결합하여 유전자의 전사를 방해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lac오페론이라고 한다.
분자생물학사 - 분자생물학사의 인물 및 연구 조사
lac 오페론은 1961년 파스퇴르 연구소에서 자코브와 모노가 대장균이 일반적으로 포도당을 에너지원으로 하여 살아가지만 포도당이 없고 젖당만 있는 환경에서는 젖당 분해 효소를 합성하여 젖당을 생활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것을 발견하고 주장하였다. beta-galactosidase는 Inhibitor와 결합된 젖당을 분해하고 permease는 외부의 lactose를 세포 내부로 끌어들이는 역할을 한다. 파스퇴르 연구소에서 동료들과 함께 세균의 유전자가 일렬로 원을 이루며, 이 원은 거의 모든 부분에서 절단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 결과 전사가 이루어져 lacZ에서 beta-galactosidase가 만들어지고 lacY에서는 permease 가 만들어지고 lacA에서는 transacetylase가 만들어진다.
분자생물학사, 분자생물학사의 인물
프랑수아 자코브(이하 F. Jacob)는 세균의 조절작용에 대한 여러 가지 발견으로 1965년 앙드레 르보프, 자크 모노와 함께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1960년 연구소의 세포유전학실의 실장이 되었고, 1965년 콜레주 드 프랑스의 세포유전학 교수, 1977년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다. F. Jacob·르보프·모노가 수행한 연구는 대부분 1950년에 F. Jacob이 파스퇴르 연구소에서 연구조교로 있을 때 밝혀낸 것이다. F. Jacob은 파리대학교의 의학부와 과학부에서 의사자격(1947)과 과학박사학위(1954)를 받았다.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이 오페론에서 젖당이 없을 경우에는 Inhibitor가 Operator에 붙어 있어 DNA의 전사과정을 억제하게 되어 오페론이 작동하지 않는다. F. Jacob은 파리대학교의 의학부와 과학부에서 의사자격(1947)과 과학박사학위(1954)를 받았다. 1960년 연구소의 세포유전학실의 실장이 되었고, 1965년 콜레주 드 프랑스의 세포유전학 교수, 1977년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다.





⓵ glucose만 있을 경우 : 일반적으로 glucose을 사용하여 생활하기 때문에 glucose만을 이용해 생활하고 lactose가 없으므로 lac 오페론은 작동하지 않는다. 여기서 이 대장균을 4가지 환경에 둘 수 있다
프랑수아 자코브(이하 F. Jacob)는 세균의 조절작용에 대한 여러 가지 발견으로 1965년 앙드레 르보프, 자크 모노와 함께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