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의 이해 - 소행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24 15:26
본문
Download : 우주의 이해 - 소행성.hwp
임시이름을 받은 소행성은 궤도…(To be continued )
,자연과학,레포트
순서
우주의 이해 - 소행성
다. 26번째부터 50번째까지 두 번째 오는 영문자 뒤에 숫자 1을 붙인다. 다음으로 발견시기가 어느 달의 상순인지, 하순인지를 나타내는 영문 알파벳을 쓴다.레포트/자연과학
Download : 우주의 이해 - 소행성.hwp( 74 )






이 보고서는 소행성과 지구의 충돌을 중심으로 쓸려고 했는데, 그렇게 하려면 소행성의 공존 주기나 구성 물질 같은 것도 알아야 했기에 소행성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모두 조사하였다.
이 보고서는 소행성과 지구의 충돌을 중심으로 쓸려고 했는데, 그렇게 하려면 소행성의 공존 주기나 구성 물질 같은 것도 알아야 했기에 소행성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모두 조사하였다. 숫자 1과 구분하기 위해 영문자 ‘I’를 To be continued 하면 마지막 Z는 25번째가 된다된다. 숫자와 혼동을 야기할 수 있는 영문자 ‘I’와 ‘Z’는 제외하고 A는 1월 1~15일, B는 1월 16~31일, C는 2월 1~15일… X는 12월1~15일, Y는 12월16~31일 발견됐을 때 쓴다. , 우주의 이해 - 소행성자연과학레포트 ,
설명
‘1999 AN10’, ‘1997 XF7’’, ’1996 QV1‘이와 같은 소행성의 이름에는 무슨 뜻이 담겨 있을까? 하나의 소행성이 최소 이틀간 관측되고 과거에 발견된 사실을 확인하기 어려울 때 국제천문연맹(IAU) 소행성센터는 이 소행성에 새로운 이름을 임시로 부여한다. 이어 같은 기간 내에 몇 번째 발견된 소행성인가에 따라 첫 번째는 A, 두 번째는 B, 세 번째는 C등으로 붙인다.
이때 일정한 명명법에 따르게 되는데 먼저 제일 앞의 네 자릿수는 발견 연도를 나타낸다. 51~75번째는 2를, 76부터 100까지는 3을 추가하는 식으로 임시이름을 붙인다.
따라서 소행성 1999AN10은 1999년 1월 상순 중 263번째로 발견된 것이라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