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의구조와기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1-30 11:38
본문
Download : 뇌의구조와기능.hwp
일단 막이 자극을 받으면 원래의 막전위는 급속 히 소실되고, 반대로 막의 안쪽이 플러스, 바깥쪽이 마이너스로 된 막전위가 새로 발생한 다.
2) 임펄스의 성질
① 한 가닥의 신경섬유에 대해 측정(measurement)하면, 자극이 유효한 한 그 차극의 세기가 변하여도 나타 나는 임펄스의 세기는 거의 일정하다.
· 원래 신경섬유의 막에는 안쪽이 마이너스(-), 바깥쪽이 플러스(+)인 전위차가 언제나 존재 하고 있따 이것을 정지막 전위라고 한다.
,자연과학,레포트
Download : 뇌의구조와기능.hwp( 21 )
다. 포유류의 신경섬유에는 가장 빠른 것은 매초 120m, 가장 늦은 것은 매초 0.2m의 전도속도를 갖는 것이 있따
③ 신경섬유는 한 번 임펄스를 전한 뒤에는 잠시나마 자극에 反應(반응)하지 못하는 시기가 있따 그 때문에 1초간에 나타낼 수 있는 임펄스의 수에는 한도가 있따 가장 빠르게 反應(반응)할 수 있는 신경섬유는 1초간에 1000회가 한도이다.
5…(To be continued )설명
레포트/자연과학
뇌의구조와기능
뇌의구조와기능에 대해 조사하였습니다. - 「전 또는 무의 법칙」
② 임펄스의 전도속도는 신경섬유의 직경에 비례해서 증가한다.뇌의구조와기능 , 뇌의구조와기능자연과학레포트 ,
뇌의구조와기능
4. 신경임펄스(신경흥분)
: 자극에 의해서 일어나, 신경섬유를 따라 전해지는 反應(반응).
1) 임펄스 전달
· 신경임펄스의 세기나 수를 알고자 할때는 신경섬유의 표면 2점에 전극을 대고 2점 사이의 전위차를 증폭기 또는 오실로스코우프를 이용해서 측정(measurement)한다. 이것이 활동전위의 본래이며, 그 주요한 Cause 은 막이 나트륨이온에 대해 투과성이 심히 강한 데 있따 신경세포, 근세포 등도 활동전위를 나타낸다.순서






뇌의구조와기능에 대해 조사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