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성인운동] 소뇌[The cerebellum]에 관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2-07 19:06
본문
Download : [의학][성인운동] 소뇌[The cerebellum]에 관해.hwp
② 협조운동과 근 운동의 조화가 복합운동(Combined movement)에서 상실되어 협동불능(asynergia)이 나타난다.
[의학][성인운동] 소뇌[The cerebellum]에 관해
레포트/의약보건
[의학][성인운동],소뇌[The,cerebellum]에,관해,의약보건,레포트
순서
[의학][성인운동] 소뇌[The cerebellum]에 관해
Download : [의학][성인운동] 소뇌[The cerebellum]에 관해.hwp( 37 )
소뇌 (The cerebellum)
운동을 실행하는데 관여
적절한 자세를 취할수 있게
평형유지
안구운동이 부드럽게 일어나도록 함
적절한 운동이 가능하도록 궤도, 속도, 가속도 등을 조절
근육상태의 조절 및 수의근 운동의 조정
소뇌의 기능 (Functions of the Cerebellum)
운동을 수행하려고 하는 의지 → 운동계획 초기부터 작용
운동이 진행되는 상황을 지속적으로 파악
어떤 운동을 할지 미리 계획세우는데 이용
여러 신경로들을 연결해주는 역할
소뇌기능이상의 임상적 징후 (Clinical signs of cerebellar dysfunction)
중앙부 - 보행장애, Titubation, 회전되거나 기울어진 머리자세, 안구운동장애
외측부 - 운동장애, 걷기장애, 저긴장, 구음장애ㅡ 거리측정(measurement)불능, 반복운동장애, 실조, 진전, 저지와
반동의 장애, 안구운동이상
오른쪽 몸체는 오른쪽 소뇌반구의 influence을 받기 때문에 소뇌반구의 손상시 같은쪽 신체에 증상이 나타
난다.
⑤ 적당한 패턴을 이용한 보행운동을 시킨다.
② 전체 운동을 구성하고 있는 개별운동 혹은 각 운동 set를 환자가 완전히 습득 할 수 있도록 한다.
⑥ 머리와 경부, 사지 등에 기도진전(intention tremor)이 나타난다.
소뇌성 실조증(Cerebellar A…(To be continued )
1. 증상
① 소뇌병변으로 인하여 자세의 간장이 상실되어 자세를 똑 바르게 할 수 없다.
⑩ Pendular knee-jerk 현상이 있따
2. 치료
① 치료의 goal(목표) 는 대뇌에 있는 고위중추를 통하여 수의적 운동을 조절함으로써 협조운동을 원활하게
② 협조운동의 원할을 달성하기 위하여 Frenkle 운동을 시킨다.
⑤ 처음에는 빠른 속도로 그리고 좀 더 진전되면 느리게 시행한다. 그러나 소뇌성 실조증에서는 눈을 떴
③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을 이용하여 근력의 불균형을 바로잡는 저항운동(최대저항)을 시킨다.
③ 쉬운 운동에서 복잡한 운동으로, 다양하게 시행
④ 동작은 전범위 운동부터 시키며 정상적인 관절 범위 안에서 시킨다.
③ 소뇌에 실질적인 병변이 있을 때 소뇌성 보행(cerebellar gait)이 나타난다.
⑨ 정신적 상태도 정상이다.
⑦ 휴식은 중간 중간에 실시하며 운동한 시간만큼 취하게 한다. 이것은 대뇌반구 병변시 반대측 신체에 증상이 나타나는 것과 대조 된다된다.
⑧ 반사는 일반적으로 정상이다. (Z걸음)
④ 정상적인 연합운동들의 해리(Dissociation)가 나타난다.
⑦ 안구진탕증, scanning, 언어차질(slurring speech) 등이 나타난다.
① 지시는 간단명료하게 한다.
⑥ 처음에는 눈을 뜬 상태에서 운동을 시키고 나중에는 눈을 감은 상태에서 실시한다.
⑤ 공동운동 장애(dysmetria)가 나타난다.
④ 등척성수축시 근력과 지구력 향상을 위한 저항운동을 시킨다.
설명
[의학][성인운동] 소뇌[The cerebellum]에 관해 , [의학][성인운동] 소뇌[The cerebellum]에 관해의약보건레포트 , [의학][성인운동] 소뇌[The cerebellum]에 관해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