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체온조절과 신체變化(변화)의 이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8 01:56
본문
Download : 체온조절과 신체변화의 이해.hwp
1. 떨림
추위에 노출되는 경우 근 긴장도가 높아져서 혈관평활근의 수축으로 오한이 나며 어느 한계 근 긴장도를 넘게되면 불수의 적으로 골격근이 10-20회/초의 빈도로 불규칙하게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게 된다 떨림은 근수축의 동시성과 규칙성이 없기 때문에 100% 모두 열로 발산되므로 열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Non-shivering thermogenesis
근수축과 무관하며 주로 catecholamine, 갑상선 호르몬 및 코티졸과 같은 호르몬에 의해 이루어 지는 열 생산을 말한다. 열 생산 방법으로는 기초대사 및 음식물섭취, 수의적인 골격근 수축, 불수의적인 골격근 수축, Non-shivering thermogenesis 가 있따 이 중 열생산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불수의적인 골격근 수축인 떨림(shivering)과 Non-shivering thermogenesis 의 기전은 다음과 같다. 예를들어 신생아를 추위에 노출시키면 체열의 95%가 Non-shiverin…(skip)
체온조절과 신체變化(변화)의 이해
,생활전문,레포트
레포트/생활전문
순서
Download : 체온조절과 신체변화의 이해.hwp( 78 )






외부온도가 높을 경우 체온에서 체온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어떠한 신체變化(변화)로 체온을 조절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Non-shivering thermogenesis 는 동면하는 동물, 신생동물 및 성인에서 장기간 추위에 노출될 때 열생산을 증가시켜 체온을 조절하게 된다
1) catecholamine - 필요시 곧 증가하나 빠르게 감소
2) 갑상선 호르몬 - 느리게 증가하나 장시간 지속
3) 코티졸 - catecholamine과 갑상선 호르몬의 작용을 강화
4) Non-shivering thermogenesis에 관여하는 조직-지방조직, 골격근 및 내장근
특히 지방조직중 갈색지방조직은 Non-shivering thermogenesis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장기인데 생후 1년 이내에 퇴화되어 없어지게 되므로 1년 이내의 영아에서 중요성이 크다.
외부온도가 높을 경우 체온에서 체온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어떠한 신체변화로 체온을 조절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체온
다.체온 , 체온조절과 신체변화의 이해생활전문레포트 ,
설명
인체내에서는 언제나 열이 생산되고 있으며 또한 이 열은 끊임없이 신체 표면에서 외부로 손실되고 있따 따라서 체온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위해선는 체내에서 생산된 열과 주위 環境(환경)으로 소실되는 열 사이의 균형이 이루어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