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 혈의 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4-30 01:59
본문
Download : [인문] 혈의 누.hwp
초기에는 〈모란봉〉이 하편이 아니라는 주장도 있었으나 〈혈의 누〉 끝에 `상편종`(上編終)이라고 씌어져 있고, 〈매일신보〉 1913년 2월 4일자에 〈모란봉〉이 〈혈의 누〉 하편에 해당됨을 알리는 기사가 실려 있는 것으로 보아 하편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인문]%20혈의%20누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20%ED%98%88%EC%9D%98%20%EB%88%84_hwp_01.gif)
![[인문]%20혈의%20누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20%ED%98%88%EC%9D%98%20%EB%88%84_hwp_02.gif)
레포트/인문사회
[인문] 혈의 누
[인문] 혈의 누 , [인문] 혈의 누인문사회레포트 , 인문 혈 누
순서
Download : [인문] 혈의 누.hwp( 38 )
인문,혈,누,인문사회,레포트
혈의 누
(1)『혈의 누』에 대하여..
이인직(李人稙)이 쓴 최초의 신소설로써 상편은 1906년 7월 22일부터 10월 10일까지 〈만세보〉에 연재되었고, 하편에 해당되는 〈모란봉〉은 1913년 2월 5일부터 6월 3일까지 〈매일신보〉에 총 65회 연재되었으나 미완성으로 끝났다. 1894년의 청일전쟁을 기점으로 자주의식의 각성, 신학문의 유입에 따르는 자유결혼, 재가허용 등의 신 결혼관이 드러나 있는 한국 최초의 신소설 작품이다. - 먼저보기를 참고 바랍니다.(2)『혈의 누』에 나타난 신소설의 근대성과 한계
신소설의 ‘근대성’은 개화기 이전의 문학과 신소설을 구별 짓게 하는 중요한 특…(투비컨티뉴드 )(3) 문학사적 의의
설명
[인문] 혈의 누
다.